분류 전체보기1312 2025년 고용노동부 달라지는 제도 ③ 출산·육아기 지원 ■ 출산·육아기 대체인력지원금 - 근로자에게 육아휴직,*신설 출산전후 휴가 등을 30일 이상 허용하고 - 대체인력을 30일 이상 계속고용하거나 사용한 경우 (*파견 포함)우선지원대상기업 사업주에게’24년 월 80만 원 → ’25년 월 120만 원 지원 ■ 출산·육아기 업무분담지원금 - 근로자에게 육아휴직,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을 30일 이상 허용하고 - 업무를 분담한 동료근로자에게 금전적 지원을 하면우선지원대상기업 사업주에게 월 20만 원 지원 * 근로자 1명당 분담자는 최대 5인까지 지정 가능하나 합산 지원 상한액은 월 20만 원[2025.01.09 고용노동부][출처] 대한민국 정책브리핑(http://www.korea.kr) 2025. 1. 9. 퇴직연금 ‘DB, DC, IPR’ 차이가 뭐야? 퇴직연금 종류와 각 연금별 차이점!■ 퇴직 연금의 종류- 확정 급여형(DB)근로자의 퇴직 급여가 근무 기간과 평균 임금에 의해 사전적으로 확정되어 있는 제도- 확정 기여형(DC)사업주는 근로자 연간 임금 총액의 1/12 이상을 부담금으로 납입하고 근로자가 직접 운영하는 제도- 개인형 퇴직 연금(IRP)근로자의 퇴직 급여를 한 계좌로 모아 노후 재원으로 활용 가능한 퇴직 연금 전용 계좌 제도Q. 근로자 개인이 퇴직 연금 적립금을 직접 운용할 수 있는가?[O] 확정 기여형(DC), 개인형 퇴직 연금(IRP)→ 퇴직 시 적립금과 운용 손익을 합하여 최종 급여 수령[X] 확정 급여형(DB)→ 근로자는 사전 확정 퇴직 급여 수령Q. 모든 퇴직연금제도를 자유롭게 가입할 수 있는가?확정 급여형(DB), 확정 기여형(.. 2025. 1. 9. 3자녀 이상이면 50% 환급 받는 K-패스 K-패스의 혜택을 확대해 국민들의 대중교통비 부담을 더욱 완화합니다.특히 다자녀 가구 유형에 대하여 환급률이 상향됩니다.일반 20% → 다자녀(2자녀) 30% 다자녀(3자녀 이상) 50%총 자녀가 2명 이상이며, 그 중 1명 이상이 만 18세 이하인 성인(부모만 해당) * 실시간 검증 완료 및 증빙 서류 최종 확인된 시점부터 환급률 적용■ 신청방법K-패스 앱·누리집 MY메뉴 - 다자녀 정보 신청이외에도 참여 지자체 189개 → 210개, 참여 카드사 11개 → 13개로 각각 확대 예정입니다. K-패스는 월 15회 이상 정기적으로 대중교통을 이용할 경우 하루 최대 2회·월 최대 60회까지 지출금액의 일정 비율을 다음 달에 돌려받는 교통카드입니다.‘K-패스’ 다자녀 가구 유형 신설…3자녀 이상 50% 환급 .. 2025. 1. 7. 새해부터 육아휴직 급여 인상 고용보험법 시행령 일부개정령안 등 의결(’24.12.17.)정부는 17일 제56회 국무회의를 열고 6월 19일 발표한 저출생 대책의 후속조치로 ‘고용보험법 시행령’ 일부개정령안 등을 심의·의결했습니다.부모님들이 꼭 필요한 시기에 마음 편히 아이와 함께 하실 수 있도록 내년 1월부터 육아휴직 급여를 올립니다.■ 월 최대 150만 원 → 250만 원■ 1년 최대 1,800만 원 → 2,310만 원■ 휴직기간 중 전액 지급부부가 1년 간 육아휴직 하면 각각 2,960만 원씩, 총 5,920만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. 한부모 근로자 첫 3개월 육아휴직 급여는 월 상한액을 250만 원에서 300만 원으로 올립니다.아이 키우는데 실질적 도움이 되도록 정책을 계속 보완해 나가겠습니다.☞ 정책뉴스로 자세히 보기https.. 2025. 1. 2. 이전 1 2 3 4 5 ··· 328 다음